목록이미지 (3)
Chanho_Park

도커란?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며, 컨테이너는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 코드 등 소프트웨어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도커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이다. 도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독립적인 환경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장한다. 도커의 핵심 개념은 이미지와 컨테이너다. 그럼 먼저 컨테이너를 알아보자.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가상화 방식인 OS 가상화가 아닌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방식을 ..

gif 를 만든 후 github readme 에 올리려면 github에 맞는 markdown 문법주소로 바꿔줘야 한다. github에 들어가서 Issues 에 들어간 후 저 Leave a comment 에 gif 파일을 드래그하여 넣게 되면 gif 주소가 나오게된다. 그 이미지 주소를 가지고 이런 식으로 넣어두면 가운데에 위치한 gif가 나오게된다.

AWS 인스턴스를 다 설정하고 확인하던 중 RDS 는 서울에 만들고 EC2 는 도쿄에 만들었다.. 잘 돌아가긴 하지만 찜찜해서 서버의 지역을 바꾸기로 했다. 1. 인스턴스 이미지 만들기 해당 인스턴스 오른쪽 작업 - 이미지 및 템플릿 - 이미지 생성 이미지 이름은 아무거나 생성하면 인스턴스 밑 메뉴에 AMI 창 클릭 처음에는 상태가 대기중이라 뜨는데 몇 분이 지나면 사용가능으로 뜬다 사용가능으로 바뀌면 AMI ID 오른쪽 버튼 AMI 복사를 눌러준다. 옮기고 싶은 국가(리전) 선택 복사 복사한 후 복사한 리전으로 변경한 다음 AMI 탭에 들어간다. 사용가능이 되면 인스턴스 탭으로 이동 -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누른 후 애플리케이션 OS 이미지 탭에서 더 많은 AMI 찾아보기 클릭 내 AMI 선택 키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