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Chanho_Park
[jenkins] Jenkins 실행(5) 본문
728x90
처음에 EC2 인스턴스 생성하면서 발급받은
탄력적IP 를 가져와 주소창에 입력해준다.
탄력적 IP:9090 주소창 입력
입력하게 되면 Jenkins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이때 이렇게 발생하게 된다면
아래의 코드를 입력해 Jenkins 상태를 확인한다.
sudo systemctl status jenkins.service
이전 글에서 9090 으로 포트를 바꿨는데
이렇게 나온다면 포트 변경이 안된 것이다.
아래 코드 한 번 입력해주고
sudo systemctl restart jenkins
그래도 안되면 이전 글 보고 다시 포트 설정 해주길 바란다.
이렇게 뜨면 성공한거다!!!!! 고생하셨습니다.
이제 이곳에 빨간줄로 있는 부분을 복사하여
EC2에
sudo cat 복사한 주소
하게 되면 pw 가 나온다. 그것을
Administrator password 에 넣는다.
그 후 우리는 일반 사용자니
Install suggested plugins 클릭
플러그인 설치가 된다.
* 여기서 설치가 안된다고 해도 걱정하지마라 나중에 설치하면 된다.
그럼 회원가입하라고 뜬다. 회원가입을 해주고
Jenkins 설정 완료
다음 글에서는 Github 랑 연결을 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build 해볼 예정이다.
728x90
'배포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Jenkins Tomcat & JDK 환경 변수 (8) (0) | 2022.11.05 |
---|---|
[jenkins] Jenkins Github 연동(7) (0) | 2022.11.05 |
[jenkins] Jenkins Github 연동(6) (0) | 2022.11.04 |
[jenkins] Jenkins 설치하고 포트 번호 및 실행(4) (0) | 2022.11.04 |
[jenkins] AWS EC2 에 Jenkins 설치하기위한 준비(3) (0) | 2022.11.04 |